목록분류 전체보기 (156)
DOTY

Combinator 부모 안에 있는 자식을 바꾸고 싶은데 부모 밖에 있는 요소는 바꾸게 하고 싶지 않을때 어떻게 할까!!!! (뭔소리지..) //대충 뭔가 써있음 child 밖의 span 말고 p안의 span만 바꾸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 p span { // 바꿀 내용 } 위 처럼 부모 안의 자식만 바꿀 수 있다. 그런데 쓰다보면 조금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HELLO!!! //대충 뭔가 써있음 child div span { // 바꿀 내용 } div 바로 아래에 있는 span (HELLO!!!) 만 바꾸고 싶은데 위처럼 쓸 경우에는 의 자식인 span (child) 까지 동시에 바뀌게 된다.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div span{ // 바꿀 내용 } div p span..

이번에도 CSS! Position 위치를 어떤 식으로 정할지 설정해준다. 예를 들어서, 고정시킬 수도 있도 유동적으로 변하게 할 수도 있다. Position의 기능중 몇가지를 알아보자. 1. Fixed 이건 단어 뜻 그대로 고정하는 것이다. 스크롤을 내려도 요소는 고정되어 있는데 참고할 것은 가장 처음 위치에서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요런 느-낌? 위와 같은 경우에는 top: 200px; 를 추가해줬다. 즉, 가장 위에서 200px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fixed 된것이다. 2. static 처음에 설정된 위치를 가리킨다. 3. relative 원래 위치에서 본인이 조금만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쓰인다. top, left, right, bottom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 div { position:..

전에 쓴 게시글 이어서..!!!! Border 이건 테두리 라고 생각하면 된다. 테두리 모양에는 선도 있고, 점이 테두리 모양으로 찍힌것도 있고, 등등 다양하다. 이건 여기에서 확인하면 어떤 스타일의 테두리가 있는지 알 수 있다. (구글에 border MDN 검색!!!!!)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CSS/border-style border-style border-style CSS 단축 속성은 요소 테두리 네 면의 스타일을 지정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아래 그림은 style을 inset으로 설정한 것이다. Border의 Syntax는 차례대로 || || 다. 실제 코드로는 이런식으로 쓴다. * { border: 2px solid b..

HTML이 뼈대라면 CSS는 근육이다. CSS는 HTML을 조금 더 이쁘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면 될듯 하다. HTML에 CSS를 추가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HTML에 바로 넣기 을 이용해서 CSS를 넣어줄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그렇게 선호하는 방법은 아니다. CSS파일을 따로 만들기 아래와 같이 HTML 헤드 부분에 link를 넣어주고, css 파일명과, relation을 각각 적어준다 HTML과 CSS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적용된다. 이 말은 곧, 다른 곳에서 같은 곳을 가르키고 그 상태를 바꾼다고 할 때, 최종적으로 가장 밑에 설정된 내용으로 바뀌게 된다. h1 { color:red; font-size:50px; } // 대충 뭔가 적혀있음.... h1 { color:blue; font-..

HTML 작업하기 전에는 을 써야 한다. ☞ txt가 아닌 html파일 이라는 것을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느낌? : 검색엔진에서 어떤 언어로 쓸 것인지 알려주는 태그 head : 보여지지 않는 설정들 과 같은 설정들을 해주는데, 만약 아무렇게나 그냥 쓴다면 html에서는 작동은 하지만, CSS, JS과 결합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HTML은 알려주지 않음..ㅠ) 위의 사진들은 구글에 네이버를 검색했을 때 나오는 것과, 네이버의 소스다. 보면 태그 뒤로 쭉 title과 meta정보들이 적혀있는데 네이버 홈페이지에서는 저런 문구들 (설명 창: 네이버 메인에서 다양한 ~~~)을 확인할 수 없다. 단, title에 적은것은 인터넷 탭에 저런 식으로 뜨게 된다. (상태나, 보이지 않는 것들을 설정해준다.) tit..

일단 쉽게 얘기하자면, HTML은 뼈대, CSS는 근육이다. HTML로 글을 작성하고, CSS로 틀을 만드는 느낌이었다. HTML먼저 공부 하고 CSS를 공부할 것이다. HTML은 head와 body가 있다. 우선 body 몇가지만 기록해놓아야지 (참고로 body는 보이는 태그들의 집합 느낌이다.) h1 글씨 크기를 키워주는 기능이다. 1~6까지 가능하다. 제목에 h1태그를 달면 괜찮을듯..? ul(unordered list), ol(ordered list) 사이에 뭔가를 쓰게 되면 맨 앞에 빈 공간만 생기고 그냥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냥 사이에 쓴 글만 출력될뿐.... 고로 리스트를 만들어줘야 한다! 를 사용한다. 지금 이걸 작성하고 있는(앞에 검은 원(?)) 점이 나타난다. first lis..
오늘 처음 알게 된 DP 에서 중요한거 같은 Memoization!!! 메모이제이션이야 ....? 아니면 메모아이제이션이야....? 쩃든,,,, 코드 두개를 비교 하면서 설명!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fibo(int n) { if(n == 1 || n == 2) return 1; return (fibo(n-1) + ribo(n-2)); } fibo(int n) { if(Memoization[n] == 0) Memoization[n] = fibo(n-1) + fibo(n-2); return Memoization[n]; } 처음에는 무슨 차이지... 싶었다. 코드 1은 그냥 한거고, 코드 2는 배열을 사용한것이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

소수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빠를줄은 생각도 안하고 있었는데.... 엄청 빠르다 int prime_Num(int n) { int cnt = 0; vector check(n+1, 1); for(int i = 2; i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8?language=cpp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ector solution(vector heights) { vector answer; for(int i = 0; i = 0; j--) { if(heights[j] > heights[i]){ answer.push_back(j+1); break; } if(j == 0) { answer.push_back(0); } } } return answer;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4 코딩테스트 연습 - 주식가격 초 단위로 기록된 주식가격이 담긴 배열 pr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은 몇 초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prices의 각 가격은 1 이상 10,00 programmers.co.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ector solution(vector prices) { vector answer; for(int i = 0; i < prices.size(); i++) {..